라즈베리파이에서 토렌트를 받도록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저전력으로 늘 돌고 있는 라즈베리파이에서 토렌트를 받게되면
PC를 켜놓을 필요도 없고, 전기도 절약되지 않을까?
서버형 우분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어서 모니터와 키보드와 연결하지 않고
라즈베리파이에 토렌트를 받도록 설정할 수 있는 토렌트 프로그램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결론은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웹을 통해 토렌트 파일을 업로드 하고
토렌트를 제어할 수 있는 transmission-daemon 이었다.
라즈베리파이에 따로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를 연결하지 않고도
토렌트 다운로드 업로드 중지 일시중지 등을 할 수 있다.
대략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1. PC에서 토렌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라즈베리파이의 transmission-daemon 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연다.
3. transmission-daemon에 인증한다.
4. 다운받은 토렌트 파일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업로드 한다.
5. 라즈베리파이 서버에서 토렌트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6. 웹브라우즈를 통해 다운로드 중인 항목을 확인하고 중지 및 일시정지를 할 수 있다.
1. transmission-daemon 설치
설치는 간단히 우분투의 apt 명령어로 설치가 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transmission-daemon
2. transmission-daemon 설정
transmission-daemon 설정은
/etc/transmission-daemon 디렉토리 아래에 있으며
settings.json 파일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settings.json 파일의 아래 항목만 찾아서 수정하면 기본 동작은 가능하다.
다른 항목이 많이 있으며 개인 설정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rpc-whitelist": "*.*.*.*",
"rpc-username": "hitec",
"rpc-password": "1234",
"download-dir": "/home/hitec/media",
"incomplete-dir": "/var/lib/transmission-daemon/downloads",
"incomplete-dir-enabled": true,
rpc-whitelist : 접근 가능한 IP, *.*.*.* 은 모든 IP에서 접근 가능
rpc-username : transmission 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사용자에 맞게 설정)
rpc-password : 사용자의 비밀번호
download-dir : 다운로드한 파일의 저장 위치 (사용자에 맞게 설정)
incomplete-dir : 다운로드 중인 파일의 위치 (사용자에 맞게 설정)
incomplete-dir-enabled : 다운로드 중인 파일의 위치를 다운로드 완료한 파일의 위치와 다르게 설정할 것인지(사용자에 맞게 설정)
3. 디렉토리 권한 설정
사용자에 맞게 디렉토리의 권한 설정
나는 hitec 이라는 리눅스 계정이 따로 있어서
hitec 계정의 /home/hitec/media 에 다운로드 된 파일을 저장하고자 했습니다.
hitec 계정의 그룹도 동일하게 hitec 이며 hitec 그룹에 debian-transmission(trnasmission의 실행 계정)을 추가합니다.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예시에서 /home/hitec/media)의 그룹 권한데 rwx 권한을 줍니다.
sudo usermod -a -G hitec debian-transmission
sudo chmod -R 775 /home/hitec/media
4. transmission-daemon 재시작
transmission-daemon 은 systemctl로 control 할 수 있다.
reload를 통해 변경한 설정을 적용한 후 restart 를 한번 한다.
sudo systemctl reload transmission-daemon
sudo systemctl restart transmission-daemon
5. transmission-daemon 열기
PC의 웹브라우저를 열어서 서버의 IP:9091 포트로 transmission 에 접근한다.
예시는 IP가 172.30.1.9 인 라즈베리파이 서버의 transmission-daemon에 하였다.
인증이 나오면 설정에서 입력했던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인증한다.
좌측 상단의 열기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오고
미리 다운받아 놓은 토렌트 파일을 업로드 하면 라즈베리파이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게 된다.

동일 망(같은 AP)에 있는 기기면 PC, 테블릿, 핸드폰 모두 접근이 가능하고 토렌트 다운로드를 요청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다운받은 동영상을 바로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Raspberry Pi > 미디어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samba, transmission-daemon, minidlna 활용 (0) | 2022.01.12 |
---|---|
우분투 DLNA 설치 (0) | 2021.12.07 |
우분투 SAMBA 설치기 (0) | 2021.12.04 |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설치기 (0) | 2021.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