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samba)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
리눅스의 파일을 윈도우즈에서 접근해서 바로 사용하기 위해 samba를 설치
1. samba 설치
우분투 설치 명령어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amba
2. samba user 등록
현재 로그인 한 계정을 등록해도 되지만
보안, 관리 등을 쉽게 하기 위해 리눅스에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였습니다.
sudo adduser <newuser>
새로 생성한 사용자를 삼바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로 등록하여야 합니다.
3. samba 설정
samba 에 어떤 사용자가 어느 디렉토리로 접근 할 건지 등을 관리 하기 위한 samba 설정파일 수정
설정파일은 /etc/samba/smb.conf 에 있습니다.
vi /etc/samba/smb.conf
파일의 가장 아래쪽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multimedia]
comment = multimedi
path = /home/hitec/media
valid users = hitec
writeable = yes
read only = no
create mode = 0777
directory mode = 0777
path - 접근할 리눅스의 위치 (저는 새로 생성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media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경로로 설정)
valid users -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mode 는 읽기 쓰기 실행이 자유로운 777로 설정했습니다.
변경 한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samba를 재시작합니다.
samba는 리눅스의 systemctl 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systemctl 명령어로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smbd
4. windows 에서 접근
window key + R 버튼을 통해 실행 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입력 후 실행
IP는 samba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의 IP로 변경
윈도우즈 파일 탐색기에서 보여지며 해당 위치에 파일 생성 복사 수정 삭제 가 가능합니다.
'Raspberry Pi > 미디어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samba, transmission-daemon, minidlna 활용 (0) | 2022.01.12 |
---|---|
우분투 DLNA 설치 (0) | 2021.12.07 |
서버형 우분투에 토렌트 설치 (0) | 2021.12.06 |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설치기 (0) | 2021.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