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준비물
Raspberry Pi 4 8G Model B
MicroSD Card
MicroHDMI 젠더 (모니터 사용)
키보드,마우스
PC
2. 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
우분투 이미지를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라즈베리파이 이미지 다운로드
https://ubuntu.com/download/raspberry-pi
Install Ubuntu on a Raspberry Pi | Ubuntu
Ubuntu is an open-source operating system for cross platform development, there's no better place to get started than with Ubuntu on a Raspberry Pi.
ubuntu.com
데스크탑, 서버, 코어 버전으로 나뉘어져 있음
따로 화면을 볼 일이 없을 예정임으로 서버 버전으로 다운
3. Raspberry Pi Imager 다운로드
라즈베리파이를 구동하기 위해 micro sd 카드에 이미지를 굽는 용도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 to the classroom coder,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
www.raspberrypi.com
rufus 등 다른 이미지 굽는 툴을 사용해도 되나 정식 이름이 달려있고 정식으로 사용을 권장하는 Raspberry Pi Imager를 사용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4. Micro SD 카드에 이미지 굽기
4.1 Raspberry Pi Imager 실행
4.2 Operating System 선택 (CHOOSE OS)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
메뉴에서 Ubuntu를 바로 선택할 경우 다운로드 후 이미지를 쓰게됨
미리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가 있는 경우 마지막 항목인 Use Custom을 선택 후 다운받은 이미지 선택
4.3 SD 카드 선택 (CHOOSE SD CARD)
SD 카드를 노트북에 꽂고 (꽂는 곳이 없으면 USB 변환 어뎁터 필요)
목록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SD 카드를 선택
4.4 이미지 쓰기 (WRITE)
이미지 쓰기가 완료될때까지 기다림
5. 우분투 라즈베리 파이 부팅
5.1. SD 카드 라즈베리파이에 꽂기
이미지 쓰기가 완료된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
5.2. 랜선 꽂기
5.3. 전원선 연결
6. 외부 접근
6.1. IP 찾기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 라즈베리파이의 IP를 확인 해야 합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아래 명령어로 ip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rp -a | findstr dc-a6-32
172.30.1.9 dc-a6-32-c4-a9-4b dynamic
6.2. ssh 접근
IP를 확인하였으면 해당 IP로 ssh 접근을 합니다.
ssh ubuntu@172.30.1.9
초기 계정은 ubuntu 이며 초기 비밀번호는 ubuntu 입니다.
초기 접근 시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게 되어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설치하고 접근하는 방법까지 정리 하였습니다.
다음부터는 라즈베리파이의 우분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하나씩 해보려고 합니다.
'Raspberry Pi > 미디어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samba, transmission-daemon, minidlna 활용 (0) | 2022.01.12 |
---|---|
우분투 DLNA 설치 (0) | 2021.12.07 |
서버형 우분투에 토렌트 설치 (0) | 2021.12.06 |
우분투 SAMBA 설치기 (0) | 2021.12.04 |